2011. 4. 5. 09:07ㆍ의류산업뉴스
캐나다, 한국산 기능성 원단 수출 유망
- 수입 원단에 대한 관세규제 대폭 축소 –
- 봉제산업 육성을 위해 수입의류 관세 점차 상향 조정 -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조원가, 봉제기술을 지닌 중국계 이민의 증가로 인해 봉제업이 유망사업으로 각광받고 있음. 정부차원에서 봉제산업 육성을 위해 원단에 대한 관세는 인하하고, 의류에 대한 관세를 점차 올리고 있음. 한국기업이 고품질 기능성 특수원단에 대한 경쟁력을 갖춰 진출할 경우 시장성이 유망한 것으로 판단됨 |
□ 캐나다의 섬유산업
○ 캐나다 섬유산업의 시장규모는 ’10년 기준 약 100억 달러로 추정되며, 성장률은 경기침체와 제조업체의 감소로 인해 매년 10%씩 감소 추세임.
○ 캐나다의 섬유산업은 실, 필라멘트, 직물, 원단뿐 아니라 펠트, 카펫, 담요, 기저귀, 위생용품, 소방호스, 밧줄, 낙하산 제작 등이 포함되는데, 의류산업뿐 아니라 염색 가공업, 방직 편물업, 석유화학산업, 마지막으로 유정(井), 천연가스정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음.
□ 원사 제조업
○ 원사 제조산업 연매출은 ’10년 기준 2억 달러로 추정됨.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원사의 양은 지난 10년간 8%가 하락했으며 점차 그 비중이 줄어들고 있음.
○ 면사, 마사, 견사, 모사, 위사, 얀러그사 등이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원사이며, 온타리오주와 퀘벡주가 각각 45%, 30%로 주요 생산 지역임. 설립된 업체의 수는 ’10년 기준 약 60~70개로 100명 미만의 소규모 업체들이 대다수이며, 신규업체 설립현황 또한 매년 -5%로 감소추세를 보임.
○ 미국으로부터의 원사수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또한 점차 품질이 개선되는 중국산 원사의 수입량이 점차 늘어나고, 한국으로부터 원사 수입은 경기불황에도 지난 3년간 증가추세를 보임.
○ 캐나다의 원사 제조 기업 중 하나인 Amtex Yarns사는 울사, 대나무사, 알파카사, 캐시미어사, 모헤어사, 폴리에스테르사, 폴리프로필렌사, 견사, 씨셀(Seacell)사, 콩섬유(soybean)사 등을 제조하고 있음. 동사는 Elite Compact Spinning Technology를 이용해 기존의 다른 원사제품보다 부드럽고 따갑지 않으며 탄력이 있고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제공함.
원사 수출입현황
(단위 : US$ 천)
|
|
2008 |
2009 |
2010 | |
미국 |
수출 |
92,465 |
85,580 |
97,560 |
|
수입 |
54,863 |
45,634 |
51,548 | ||
한국 |
수출 |
33 |
28 |
13 |
|
수입 |
66 |
133 |
231 | ||
홍콩 |
수출 |
255 |
129 |
73 |
|
수입 |
25 |
27 |
26 | ||
칠레 |
수출 |
1 |
85 |
8 |
|
수입 |
84 |
38 |
253 | ||
방글라데시 |
수출 |
4 |
7 |
14 |
|
수입 |
705 |
375 |
411 | ||
그리스 |
수출 |
111 |
128 |
54 |
|
수입 |
684 |
972 |
514 | ||
일본 |
수출 |
45 |
11 |
5 |
|
수입 |
745 |
614 |
663 | ||
대만 |
수출 |
42 |
- |
- |
|
수입 |
824 |
591 |
868 | ||
파키스탄 |
수출 |
167 |
30 |
72 |
|
수입 |
2,550 |
2,726 |
3,277 | ||
중국 |
수출 |
2,460 |
1,575 |
1,253 |
|
수입 |
6,617 |
5,137 |
7,056 | ||
총계 |
수출 |
102,336 |
89,663 |
100,939 |
|
수입 |
122,112 |
104,665 |
127,447 |
자료원 : 통계청
□ 원단 제조업
○ 원단 제조산업의 연매출액은 ’10년 기준 약 30억 달러로 예상되며 꾸준히 하락세임.
○ 2010년 기준 원단제조업체는 퀘벡 주에 52%, 온타리오 주에 38% 있으며, 직원 수 100명 미만의 소규모가 많음. 1999~2008년 사이 신규 업체 설립 수가 190개에서 285개로 증가하며 연 4.2%의 성장세를 보였으나 그 이후 7.4%의 하락세를 보임.
○ 캐나다 서부는 가정용 및 상업용 원단시장은 J.Ennis, Maxwell Fabrics사가 많은 물량을 수입, 거의 독점함. 또한 현재 밴쿠버 원단시장은 90년대를 전후로 중국 업체들의 현지 진출을 통해 값싼 중국 제품을 직접 시장에 공급함. 그리해 많은 수의 현지 중소규모 원단 수입업체와 유럽 에이전트들이 문을 닫았음.
Maxwell사가 판매 중인 원단 패턴
자료원 : Maxwell Fabrics
○ 캐나다는 원단의 60% 이상을 수입하며, 특히 그중 캐나다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합성섬유와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원단을 선호함.
- 의류 제작 공정에 필요한 원단은 주로 기능성 원단으로 나일론, 레이본, 스판덱스 등을 미국, 중국, 한국, 대만 등에서 수입해옴.
- 유기농 원단의 경우 미국 네덜란드 등지에서 주로 수입함.
○ 세계적 경기침체로 총 수입량이 크게 감소했던 ’09년과 비교해 ’10년에는 전체적으로 회복세를 보였음. 캐나다 지역 중 온타리오주가 연간 가장 많은 원단을 수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캐나다 합성 섬유(HS코드 5407 합성섬유 필라멘트사 기준) 수입현황
(단위 : US$ 천)
|
2008 |
2009 |
2010 |
미국 |
94,687 |
68,167 |
88,379 |
중국 |
25,977 |
23,478 |
28,148 |
한국 |
7,187 |
5,408 |
6,890 |
대만 |
6,696 |
4,900 |
6,324 |
인도 |
4,662 |
5,769 |
5,485 |
터키 |
5,812 |
4,385 |
5,068 |
벨기에 |
1,600 |
2,106 |
3,905 |
이탈리아 |
4,149 |
3,012 |
2,801 |
인도네시아 |
3,276 |
2,299 |
2,801 |
일본 |
2,900 |
1,917 |
2,360 |
영국 |
996 |
936 |
2,309 |
독일 |
5,277 |
2,024 |
2,303 |
그리스 |
2,919 |
953 |
2,076 |
태국 |
1,535 |
1,254 |
1,620 |
총계 |
182,816 |
142,076 |
174,253 |
자료원 : 통계청
○ 캐나다의 원단 소비량은 전 세계의 2% 정도이며, 이 중 캐나다 내에서 제작되는 공급량은 내수 소비량의 50%를 못 미침.
- 캐나다의 원단 총 수입액은 12억 달러로 미국과 중국산 제품이 전체 수입량의 65% 이상을 차지함. 특히 미국산 제품의 비중이 큰 이유로는 캐나다와 유사한 유행패턴, 육로로의 운송 가능 등이 있음. 한국산 제품 수입은 경기침체였던 ‘09년을 지나 ‘10년에는 반등하는 추이를 보임.
원단 수출입현황
(단위 : US$ 천)
|
|
2008 |
2009 |
2010 | |
미국 |
수출 |
518,486 |
421,279 |
476,481 |
|
수입 |
696,842 |
546,575 |
637,789 | ||
중국 |
수출 |
13,704 |
12,335 |
7,251 |
|
수입 |
159,773 |
140,346 |
171,824 | ||
한국 |
수출 |
3,369 |
2,653 |
2,940 |
|
수입 |
58,602 |
49,510 |
63,188 | ||
이탈리아 |
수출 |
1,045 |
1,098 |
1,392 |
|
수입 |
69,285 |
42,840 |
51,755 | ||
대만 |
수출 |
407 |
433 |
239 |
|
수입 |
44,820 |
36,869 |
46,380 | ||
인도 |
수출 |
3,808 |
1,077 |
759 |
|
수입 |
26,365 |
23,681 |
28,514 | ||
이스라엘 |
수출 |
850 |
13,038 |
3,967 |
|
수입 |
19,926 |
19,076 |
27,532 | ||
멕시코 |
수출 |
7,721 |
6,126 |
7,051 |
|
수입 |
34,710 |
21,428 |
25,423 | ||
일본 |
수출 |
1,518 |
1,275 |
727 |
|
수입 |
24,883 |
20,916 |
23,846 | ||
독일 |
수출 |
1,812 |
1,609 |
1,191 |
|
수입 |
30,047 |
17,785 |
19,226 | ||
총계 |
수출 |
615,119 |
507,351 |
555,736 |
|
수입 |
1,314,824 |
1,035,215 |
1,227,334 |
자료원 : 통계청
□ 의류 봉제업
○ 캐나다 산업부에 따르면 ’10년도 캐나다 의류 산업의 제조규모는 약 30억 달러로 예상되며, 생산 제품을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함.
○ 의류뿐 아니라 모피, 속옷, 양말, 장갑, 스웨터와 작업복 제작을 포함함. 캐나다 내 의류 봉제업체는 약 3만8000개이며 대부분 100명 미만의 소규모로 퀘벡 주에 50% 가까이 밀집됐으며, 그 뒤를 이어 온타리오 주(30%), 브리티시컬럼비아 주(12%)에 분포돼 있음.
의류 수출입현황
(단위 : US$ 천)
|
|
2008 |
2009 |
2010 | |
중국 |
수출 |
1,748 |
2,048 |
3,579 |
|
수입 |
3,154,845 |
2,820,087 |
3,081,311 | ||
방글라데시 |
수출 |
- |
2 |
31 |
|
수입 |
448,063 |
530,335 |
608,028 | ||
미국 |
수출 |
729,040 |
538,760 |
301,099 |
|
수입 |
327,079 |
287,782 |
288,653 | ||
캄보디아 |
수출 |
- |
28 |
5 |
|
수입 |
208,905 |
208,618 |
279,633 | ||
인도 |
수출 |
94 |
763 |
470 |
|
수입 |
282,510 |
268,680 |
247,877 | ||
멕시코 |
수출 |
1,555 |
1,995 |
3,219 |
|
수입 |
237,713 |
207,982 |
246,005 | ||
베트남 |
수출 |
366 |
109 |
219 |
|
수입 |
185,284 |
200,863 |
224,421 | ||
이탈리아 |
수출 |
2,240 |
2,898 |
6,864 |
|
수입 |
142,597 |
103,665 |
111,876 | ||
터키 |
수출 |
468 |
646 |
2,401 |
|
수입 |
91,849 |
71,383 |
82,542 | ||
한국 |
수출 |
3,194 |
3,626 |
5,260 |
|
수입 |
10,335 |
7,335 |
9,124 | ||
총계 |
수출 |
867,687 |
662,845 |
751,723 |
|
수입 |
6,006,558 |
5,517,191 |
6,065,477 |
자료원 : 통계청
○ 섬유 및 의류제조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구는 약 17만 명이며, 그중 원단제작에 6만 명, 의류 봉제분야에 11만 명으로 봉제업 노동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음.
○ 의류 봉제 작업시 인건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캐나다에서는 중국산과의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지는 실정임. 이로 인해 보통 하청업체에 의류 봉제작업을 맡기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봉제업체는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계 이민자 층에 많이 의존하는 편임.
- 중국계 이민인구의 유입은 계속될 예정이며 현지 업체에 따르면 중국계 이민자가 많아짐에 따라 의류 봉제 산업으로의 노동인구도 증가할 것이라 함.
○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10년 기준 총인구 중 중국계의 수는 100만 명이 넘으며 온타리오와 BC 주에 가장 많음. 중국계 이민자는 의류 봉제 실력과 기술을 겸비한 이들이 많으며 기존에는 온타리오와 퀘벡주에 집중됐었으나 최근 밴쿠버 및 인근 지역으로의 유입도 활발한 편임.
- 이들이 보유한 봉제 기술력과 물류센터로서 가진 지리적 이점이 합쳐져 최근 의류 봉제시설이 증가함.
- 과거에는 BC 주에 설립된 공장이 드물었기 때문에, 봉제 실력을 가진 중국계 이민자들은 주로 외곽지역에 위치한 구두 제작일을 많이 했음. 구두 제조공장의 60% 이상이 중국 인구였음.
○ 캐나다에는 국내 유명브랜드는 적으나, 중소규모의 디자이너들이 다수 존재해 ODM 생산이 많음. 의류 봉제업체들은 캐나다의 중견기업 브랜드 옷을 하청받아 제작하고 틈틈이 미국 브랜드 기업의 의류제작 수주를 받음.
- ‘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방문한 봉제업자가 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의류 제작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동 내용이 미국 내 업계로 퍼지면서 미국으로부터 주문량도 늘어나는 추세임
- 의류부문 캐나다의 국내 소비는 증가 추세에 있으며 미국기업으로부터 ODM 의뢰 받은 의류의 수출량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임. 캐나다로의 주문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로는 디자이너가 많고, 인건비가 저렴하며 중국보다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임.
○ 캐나다에서는 브랜드에서 자체 생산되는 고품질의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 Arc'teryx, SUGOI, Lululemon, Aritzia 사가 대표 업체임. 이들은 중국 및 한국에 생산공장을 보유하나 고급·고부가 제품은 현지 제작을 원칙으로 함. 캐나다에서 자체 생산 시 품질 관리가 가능하고 공정한 근무 환경 아래 제작됐다는 이미지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제품의 판매율이 좋을 경우 추가제조 및 공급이 용이하기 때문임.
- 상기 업체가 사용하는 원단은 Aritzia 입점 브랜드 중 하나인 Community사의 유기농 면 소재, Lululemon사의 luon® 특수원단, SUGOI사의 스판덱스가 있음.
○ Sageworks Inc.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의류 봉제산업이 2011년 내 판매성장률 12.34%와 수익률 10.22%로 예상돼 2011년 캐나다에서 가장 유망한 사업분야로 꼽힘. 이와 더불어 수입원단에 대한 관세가 점차 낮아짐에 따라 앞으로 더욱 발전될 전망임.
2011년 캐나다 내 유망한 10대 사업분야
자료원 : Sageworks Inc.
□ 관세
○ 보통 캐나다로 수입되는 섬유원단에는 10~12%의 관세가 부과됐는데, 이로 인해 섬유수입업체들은 1년에 약 1억 달러를 지출해야 했음. 캐나다 정부는 봉제업체들을 지원하는 방책으로 2011년 1월을 시작으로 3~5년 동안 수입섬유에 부과되던 많은 관세를 0% 혹은 대폭 절감할 것이라 발표했음.
○ 반면 현지 업체들과의 인터뷰 결과 현재 18%인 완제품 의류에 대해서는 더 많은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전망됨. 봉제산업이 발달하고 관련업체 수가 증가함에 따라 캐나다 정부 차원에서 자국 제조업 보호 정책의 일환으로 관세율을 지속적으로 올리는 조치로 풀이됨.
□ 시사점
○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 일반 원단에 대한 바이어 인콰이어리가 밴쿠버 KBC를 통해 접수되고 있긴 하지만, 한국산 제품은 중국산에 비해 가격경쟁력에 밀리는 상황임. 게다가 중국산 제품에 대한 품질 인식이 점차 개선됨에 따라 전반적인 경쟁력은 떨어지는 편임.
○ 대신 고품질의 기능성 특수 원단 진출을 고려해 보는 것이 좋을 것임. 현재 기능성 원단 공급처는 대만, 일본, 홍콩, 한국임. 기능성 원단 부문에서 한국은 후발주자이긴 하지만, 기능성 원단을 사용하는 제품은 품질을 가장 중요시하기 때문에 경쟁국에 비해 고품질 제품 공급이 가능할 경우 진출 가능성이 있음.
○ 또한 환경 친화적인 이유로 플라스틱 등을 이용한 재활용원단을 사용한 의류도 많이 출시되고 있어 이 원단도 유망하다고 볼 수 있음.
○ 실례로, 최근 밴쿠버 KBC는 지사화사업을 통해 캐나다 의류 제작 선두기업인 L사에 한국산 기능성 특수원단 및 완제품을 공급하는 샘플계약을 성사시킨 바 있음. 또한 고품질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를 제조하는 A사에 한국산 특수원단제품 납품 계약을 위한 막바지 작업 추진 중임.
○ 이렇듯 밴쿠버 KBC는 기능성 특수원단시장에 가능성을 두고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므로 관심 있는 한국기업은 밴쿠버 KBC로 연락하시기 바람.
자료원 : 통계청, 바이어 인터뷰, KOTRA 밴쿠버 KBC 자체 분석
'의류산업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류산업동향뉴스 (0) | 2011.04.05 |
---|---|
中, 해외구매 대행 성행 (0) | 2011.04.05 |
그룹 + 쿠폰, 그루폰 떴다 (0) | 2011.04.05 |
2012년도 공장자동화기기 관세감면 대상물품 신청 안내 (0) | 2011.04.05 |
한-EU FTA 섬유산업 One-Stop 세미나 개최안내 (0) | 201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