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7년부터 배추. 무 포장유통 전면실시 |
농산물 물류비 절감을 통한
농업경쟁력 향상을 위해 '농산물 물류혁신 종합대책'이 마련되고 이를 위해 오는 2013년까지 총 4조 3,611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또 2007년부터 배추와 무 포장유통이 전면 실시된다.
정부는 2일 오전 서울 정부중앙청사에서 한덕수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주재로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농산물 물류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배추와 무의 포장유통은 내년
상반기에 시행방안을 확정하여 하반기부터 시범사업을 실시한 뒤 2007년 월동배추를 시작으로 봄배추, 고랭지 배추, 가을 배추 등으로 전면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2008년까지 수확후관리기술 표준매뉴얼을 현재 9개에서 36개 품목으로 확대해 수확후의 관리기술을 개발, 보급키로
했다. 농산물 거래와 유통주체의 규모화를 위해서는 내년 중 농안법을 개정해 친환경 농산물의 정가와 수의매매 허용, 시장유통주체의 인수.합병
근거를 신설할 계획이다.
정부는 생산지부문에서는 산지유통조직을 심사해 경영능력별로 유형화하고 정부지원 방식을 차별화함으로써
전문조직과 공동마케팅 조직 등 규모화된 유통조직을 육성할 방침이다.
아울러 저온냉장고, 예냉시설 등 저온유통체계의 근간이 되는
산지 유통센터를 확충 2004년 213개소에서 2013년에는 288개로 확충하는 한편, 냉장탑차를 생산.출하단계부터 소매단계까지 연계하는 등
저온유통체계를 보완키로 했다.
정부는 농산물물류혁신종합대책이 차질없이 추진될 경우 농산물 표준규격출하율이 지난해 50.4%에서
2013년에는 80%로, 하역기계화율은 17%에서 50%로 높아지는 한편, 농산물 수확후의 손실율도 25%에서 10%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문의. 재정경제부 정책조정총괄과 02)2110-23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