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男 취업자 200만명 이하로 추락

2005. 11. 29. 09:19나의 취재수첩

20대男 취업자 200만명 이하로 추락
  2005-11-28 10:03:17 입력
10월 취업자 감소율 환란이후 최대 
   
   20대 남성 취업자가 외환위기 이후 최대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남성 청년 취업자는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지난 82년이후 처음으로 200만명 이하로 추락했다.

   이는 저출산.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데다 청년 취업난이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데 따른 현상으로 한국경제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0월의 전체 취업자는 2천318만6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의 2천290만1천명에 비해 1.2%가 늘었다.

   이중 20∼29세 취업자는 430만7천명에서 417만9천명으로 3.0%가 감소했다.

   이 연령대 취업자중 남성은 195만9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의 207만9천명보다 5.8%가 줄었다.

   이 감소율은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99년 3월(-6.6%) 이후 최대치다.

   올들어 20대 남성 청년 취업자는 1월 -3.7%, 3월 -4.3%, 5월 -3.8%, 7월 -3.6%, 9월 -5.6% 등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이에 따라 올들어 200만명대를 계속 유지하던 남성 청년 취업자수는 8월에 195만3천명으로 떨어졌고 9월 193만5천명에 이어 10월에도 190만명대에 머물렀다.

   남성 청년 취업자수가 200만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취업자수 월별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지난 82년이후 처음이다.

   남성 청년 취업자수를 연도별로 보면, 10월 기준으로 82년에 245만2천명이었다가 91년 272만8천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98년에는 227만1천명으로 떨어졌다.

   이후 99년 231만1천명, 2000년 232만3천명 등으로 다소 회복됐다가 2001년 222만7천명, 2002년 218만7천명, 2003년 210만2천명 등으로 감소세를 지속했다.

   반면, 20∼29세 여성 취업자는 지난 10월에 222만명으로 작년 같은 달의 222만9천명에 비해 0.4%가 줄어드는데 머물렀다.

   여성취업자의 증감률은 올들어 1월 0.0%, 3월 0.8%, 5월 -1.2%, 7월 -2.3%, 9월 -2.5% 등으로 남성에 비해 감소폭이 작았다.

   20대 여성 취업자의 감소율이 남성에 비해 작은 것은 여성들이 예전에 비해 훨씬 적극적으로 취업에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2005-11-28 11:37:31 수정 김서중 기자(ipc007@nate.com)
김서중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