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중국의 '게임공정'

2006. 10. 27. 10:38지적재산권 보호활동뉴스

[기자수첩]중국의 '게임공정'

 한국 온라인게임에 대한 중국의 해킹 공세가 도를 넘어서면서 요즘 게임업계에는 ‘게임 공정(工程)’이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 정도다.

 수법도 나날이 교묘해져 거대한 덩치에 비해 단속이나 처벌은 그야말로 쥐꼬리 수준에 머물고 있다. 직접 한국 게임 이용자의 계정을 해킹해 아이템을 빼가거나 중국에서 아이템을 키워 한국에 팔아먹는 행위가 신종 사업처럼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게임을 베껴 ‘짝퉁’을 서비스하는 것쯤은 오히려 애교로 넘겨야 될 듯한 심각한 산업 침해가 글로벌 시대라는 지금도 버젓이 이뤄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자국산 게임을 장려하는 이른바 ‘민족게임 융성 정책’을 들고 나온 이후 한국 게임에 대한 해킹이나 ‘작업장(아이템을 끼워 팔아 이득을 취하는 조직)’이 더욱 창궐하고 있는 것은 묘한 연관성마저 느끼게 한다. 중국 정부가 의도적으로 한국산 온라인게임의 중국 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서슬퍼런 규제 칼날을 들이대면서 한국에서 서비스중인 게임의 해킹이나 작업장 공세는 묵인 또는 방조하는 것이라면 심각한 수준을 넘어 끔찍해진다.

 올 초 터진 주민등록번호 도용 사태나 정부가 불법으로 규정한 아이템 현금거래의 문제를 더욱 왜곡·악화시키는 진원지가 바로 중국이다. 지금도 중국 사이트들에 떠돌고 있는 한국인의 개인정보는 아이템 탈취를 위한 계정 생성용으로 쓰이고 있고, 한국에서 아이템을 팔아 챙긴 수익은 어떠한 법적 절차도 없이 중국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

 게임업계는 ‘국내산업 보호’ ‘국부 유출’ 등을 근거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 움직임은 미미하기만 하다.

 지금도 온라인 세상에선 게임 이용자들의 원성과 아우성이 넘쳐나고 있지만 그 책임은 고스란히 해당 업체가 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 시장에 게임을 내보내야 할 업체로선 중국 정부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만약 붙더라도 백전백패할 것이 뻔하다.

 우리나라가 명실상부한 세계 3대 게임산업 강국이 되려면 그 목표를 내건 정부가 나서서 자국 산업 ‘밥그릇’을 지켜야 한다. ‘중국 공정’을 선언하지는 않더라도 말이다.

  디지털문화부·이진호기자@전자신문, jholee@